티스토리 뷰

FMEA는 "Failure Mode Effective Analysis"의 약자로, 고장 모드(불량, 문제, 실패 등)를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세우기 위한 품질 관리 방법입니다. 주요 목적은 제품 및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결함을 사전에 발견하고 분석하여 고객에게 고품질 제품을 제공하는 데 있습니다.
FMEA의 대표적인 2가지
DFMEA란?
DFMEA는 "Design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의 약자로, 제품의 설계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결함과 그 영향을 분석하는 방법론입니다. 이 분석을 통해 설계 결함을 미리 식별하고, 제품이 의도한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사전 조치를 취합니다. DFMEA는 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수행됩니다.
PFMEA란?
PFMEA는 "Process Failure Mode Effect Analysis"의 약자입니다. PFMEA는 공정 자체의 고장 모드를 분석하는 FMEA의 한 형태로, 모든 예측 가능한 고장이 고객에게 미칠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예방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FMEA의 목적
잠재 고장 모드 확인 및 영향 중요도 평가
주요 관리 특성 확인
공정과 설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의 우선순위 결정
제품 및 공정 문제 제거 및 예방
FMEA의 적용 분야
신규 설계, 신기술 및 신규 공정
기존 설계 및 공정의 변경
새로운 환경, 위치 또는 법적 요구사항 변화에 따른 기존 설계 및 공정 적용
FMEA 시작 전 준비 사항
프로젝트의 적용 범위 설정
FMEA 개발에 필요한 현재 데이터 확보
FMEA 기본 구조
프로젝트의 적용 범위
FMEA 개발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FMEA 팀 구성
FMEA는 엔지니어가 팀을 주도하며, 제품 개발, 생산, 설계, 품질, 신뢰성 및 기타 관련 부문 전문가가 참여합니다.
FMEA 기본 사용 양식
기능, 요구사항 및 달성 목표
고장 발생 시 영향 평가
고장 원인 분석 및 관리 조치
고장 재발 방지 대책
FMEA의 고객 정의
최종 사용자
제조 공장
공급망 제조업체
법규 감독 기관
FMEA 용어 정리
5W1H
문제 해결을 위한 필수 질문 - Who, When, Where, What, How, Why.
RPN (위험 우선도)
각 고장 모드의 위험 우선도를 수치로 표현한 것으로, 높을수록 발생 가능성이 큽니다.
S.O.D (심각도, 발생도, 검출도)
고장 분석의 각 평가지수로, 1~10 등급으로 나뉩니다.
마무리
이러한 구조와 용어를 바탕으로 FMEA는 제조업뿐만 아니라 비제조업(행정, 안전 시스템 등)에서도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FMEA는 사전 예방적 활동으로써,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고 제품 및 공정 품질을 높이는 데 핵심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