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2025년부터 도입되는 AI 디지털교과서란? (맞춤형 학습의 혁명)

 

 

2025년부터 인공지능(AI)이 탑재된 디지털교과서가 초등학교 3~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을 시작으로 점차 도입됩니다. 디지털교과서는 학생별 맞춤형 학습을 지원하며, 2028년까지 도덕과 예체능 과목을 제외한 전 과목으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이번 추진 방안은 교육부가 발표한 'AI 디지털 교과서 추진방안'을 기반으로 하며, AI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학습 콘텐츠 제공과 학습 성취도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일정과 과목

 

AI 디지털교과서는 2025년부터 수학, 영어, 정보, 특수교육 국어 과목에서 먼저 도입됩니다. 이후 국어, 사회, 과학, 기술·가정, 역사 등으로 확대되며, 2028년에는 고등학교 공통 국어, 통합사회, 한국사, 통합과학 과목에 적용됩니다. 초등학교 1~2학년은 디지털 기기 사용이 이르다는 이유로 제외되며, 활동 중심의 음악, 미술, 체육, 도덕 과목도 대면 교육이 유지됩니다.

 

AI 디지털교과서 개발 과목 및 적용 일정(안)
교육부 제공

 

맞춤형 학습 지원과 교육 효과

 

AI 디지털교과서는 학생별 성취도 분석을 통해 맞춤형 학습을 지원합니다. 성취도가 낮은 학생에게는 기초학습 과제를, 성취도가 높은 학생에게는 심화 학습 과제를 제공함으로써 개인별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 교실에서 같은 수업을 듣더라도 각 학생의 학습 속도와 수준에 맞춘 교육이 가능해집니다.

 

서책형 교과서와 병행 도입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초기에는 서책형 교과서와 병행하여 사용됩니다. 서책형 교과서 없이 단독으로 개발되는 초등학교 정보 과목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과목에서 두 가지 형태의 교과서가 함께 사용될 예정입니다. 이는 학생, 학부모, 교사들이 AI 디지털교과서에 적응할 수 있는 기간을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AI 디지털교과서 개발과 검정

 

AI 디지털교과서는 기존 교과서 개발사와 에듀테크 업체가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개발합니다. 교육부는 8월 중으로 AI 디지털교과서 개발 가이드라인을 공개하고, 9월부터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할 예정입니다. 2025년 2월까지 현장 검토를 거쳐 3월부터 교실에 적용됩니다.

 

통합학습기록저장소와 학습 데이터 관리

 

정부와 공공기관은 통합학습기록저장소를 구축하여 학생별 학습 정보 종합 분석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개인별 학습현황과 추천 학습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으며, 교사와 학부모는 학생의 학업 참여도와 성취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국가와 지역 단위의 학습 데이터도 수집하여 교육 정책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교사 연수와 디지털 문해 교육

 

AI 디지털교과서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 교육부는 올해 하반기부터 영어, 수학, 정보 과목 교원을 대상으로 연수를 시작합니다. 또한, 디지털 기기의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각 학교에서 디지털 문해 교육을 실시하고 유해 사이트 차단 기능도 지원할 예정입니다.

 

마무리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은 교육의 디지털 혁신을 위한 중요한 발걸음입니다. 학생별 맞춤형 학습을 지원하고 학습 성취도를 향상하는 AI 디지털교과서는 2025년부터 점차 도입되어 2028년까지 전 과목으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서책형 교과서와 병행 도입되는 초기 단계에서 학생, 교사, 학부모 모두가 AI 디지털교과서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충분한 준비와 지원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미래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성공적으로 구축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